골든블루, 본고장 영국에서부터 동남아까지 홀린 `香`…한국 위스키의 자존심
본문
>
2009년 첫 출시 10년 만에
도수 낮은 위스키 시장 개척
매출 4444% 폭발적 성장
국내 점유율 30%대로 1위
美·英 품평회서 20회 수상
中·베트남·태국 등 수출도
세계 4대맥주 `칼스버그`
국내 독점 유통권도 따내
◆ 2019 부산 베스트기업 ◆
골든블루 대표 제품들. [사진 제공 = 골든블루] 부산에서 출발한 위스키 '골든블루'가 국내 정통 위스키 시장 1위 브랜드로 안착했다. 국내 위스키 시장에 저도주를 처음으로 선보이며 돌풍을 일으켰던 골든블루가 2017년 대한민국 '넘버원' 위스키에 올라선 후 올해도 30%대 점유율로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켜나가고 있다.
골든블루는 2009년 12월 3일 국내 첫 정통 저도(36.5도) 위스키로 출시됐다. 골든블루는 출발 당시에는 시장 점유율이 0.1%에 불과했다. 그러나 꾸준히 시장을 파고들어 40도 이상 제품이 주류이던 국내 위스키 시장의 판도를 아예 바꿔놓았다. 업계 신생아였던 골든블루는 2016년 국내 정통 위스키 시장에서 점유율 20%대로 올라선 이후 지난해엔 30%대를 돌파했다.
그사이 국내 위스키 시장에서 저도주가 차지하는 비율은 50%를 넘어섰다. 골든블루 판매량은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 왔다. 2015년 3월 1000만병을 넘어선 데 이어 2016년 10월 2000만병, 2018년 2월 3000만병 기록을 차례로 달성했다. 올 6월 판매량은 4000만병을 돌파했다. 2009년 출시 당시 36억원이던 매출액은 지난해 1636억원으로 4444% 증가했다.
골든블루는 출시 8년 만인 2017년 12월 국내 정통 위스키 시장에서 1위 자리에 올랐고 지금까지 이를 놓치지 않고 있다. 골든블루 성장은 '골든블루 더 사피루스'와 '골든블루 더 다이아몬드' 두 제품이 이끌고 있다. 특히 2012년 11월 선보인 '골든블루 더 사피루스'는 출시 5년 만인 2017년 9월 단일 브랜드 기준 판매량 1위에 오른 뒤 지금까지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다. 골든블루 더 사피루스, 골든블루 더 다이아몬드는 벨기에 몽드셀렉션 주류품평회에서 2015년부터 5년 연속 금상을 수상하는 등 품질과 맛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주류품평회(SWSC)와 영국 국제위스키품평회(IWSC)에 참가해 2015년부터 최근까지 20개 넘는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지난 10년 동안 '골든블루'로 위스키 시장을 이끌어온 골든블루는 앞으로도 국내 위스키 시장을 주도해 나가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 이를 위해 2016년도에 프리미엄 위스키인 '팬텀'을 론칭했다. '팬텀'은 미래 한국 위스키 시장을 주도해 나갈 차세대 브랜드로 골든블루는 '팬텀'을 중심으로 다양한 마케팅과 영업 활동을 통해 국내 위스키 시장 부활에 청신호를 켜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팬텀은 2016년 출시 이후 1년도 안돼 국내 로컬 위스키 브랜드 5위에 오른 데 이어 올 10월까지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22.8% 증가하는 등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부산 본사에서 출발한 국내 대표 위스키 골든블루는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다. 2010년 7월 중국에 처음 수출됐으며 이어 베트남(2011년 6월), 싱가포르(2014년 7월), 캄보디아(2014년 11월)로 해외 시장이 확장됐다. 2018년 8월 인도네시아와 태국 시장에 진출했으며 올해는 말레이시아 시장을 개척했다.
또 골든블루는 지난해부터 세계 4대 맥주회사이자 덴마크 프리미엄 맥주인 칼스버그를 국내 독점 유통하기 시작하며 맥주시장에도 진출했다. 칼스버그는 골든블루가 판매한 지 1년 만에 여름 판매량이 192% 상승하는 등 높은 신장률을 기록 중이다. 골든블루는 올해 10월부터는 벨기에 에일 맥주 '그림버겐'을 국내 독점 수입·유통하고 있다. 골든블루는 "그림버겐은 우수한 품질을 자랑하는 벨기에 에일 맥주"라며 "1128년 수도원 지하창고에서 발효된 고품질 효모로 처음 빚어진 이래 9세기 동안 고유한 제조법을 지켜오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림버겐은 최근 5년간 전 세계적으로 연평균 14%씩 판매가 성장하고 있다. 와인과 같이 독특하면서도 풍부한 맛과 향이 특징이다. 골든블루는 앞으로 전통주, 하이볼 등 다양한 제품을 추가하며 포트폴리오 다각화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주류전문기업으로 부상해 나갈 계획이다.
골든블루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대한민국을 따뜻한 온기가 넘치는 나라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후원활동을 하고 있다. 골든블루가 가장 많이 관심을 가지고 지원하고 있는 부분은 소외계층 후원. 지난해 장애인 육상 선수 2명을 직원으로 채용해 선수들이 경제적 걱정 없이 스포츠에 전념할 수 있도록 후원하면서 두 선수가 2년간 딴 메달만 10개가 넘는다.
김동욱 골든블루 대표는 "골든블루의 성공은 주류업계에서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많다. 특히 작은 토종 기업도 도전정신과 끈기를 가지고 노력하면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성공 사례라고 생각한다"며 "미래 환경 변화를 늘 주시해 소비자에게 만족을 주는 제품을 개발하고 차별화된 마케팅 활동을 펼쳐 골든블루의 새로운 도약과 밝은 미래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부산 = 박동민 기자]
▶매경이 에어팟프로 쏩니다! 'M코인'
▶네이버 메인에서 '매일경제'를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매콤달콤' 구독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09년 첫 출시 10년 만에
도수 낮은 위스키 시장 개척
매출 4444% 폭발적 성장
국내 점유율 30%대로 1위
美·英 품평회서 20회 수상
中·베트남·태국 등 수출도
세계 4대맥주 `칼스버그`
국내 독점 유통권도 따내
◆ 2019 부산 베스트기업 ◆

골든블루는 2009년 12월 3일 국내 첫 정통 저도(36.5도) 위스키로 출시됐다. 골든블루는 출발 당시에는 시장 점유율이 0.1%에 불과했다. 그러나 꾸준히 시장을 파고들어 40도 이상 제품이 주류이던 국내 위스키 시장의 판도를 아예 바꿔놓았다. 업계 신생아였던 골든블루는 2016년 국내 정통 위스키 시장에서 점유율 20%대로 올라선 이후 지난해엔 30%대를 돌파했다.
그사이 국내 위스키 시장에서 저도주가 차지하는 비율은 50%를 넘어섰다. 골든블루 판매량은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 왔다. 2015년 3월 1000만병을 넘어선 데 이어 2016년 10월 2000만병, 2018년 2월 3000만병 기록을 차례로 달성했다. 올 6월 판매량은 4000만병을 돌파했다. 2009년 출시 당시 36억원이던 매출액은 지난해 1636억원으로 4444% 증가했다.
골든블루는 출시 8년 만인 2017년 12월 국내 정통 위스키 시장에서 1위 자리에 올랐고 지금까지 이를 놓치지 않고 있다. 골든블루 성장은 '골든블루 더 사피루스'와 '골든블루 더 다이아몬드' 두 제품이 이끌고 있다. 특히 2012년 11월 선보인 '골든블루 더 사피루스'는 출시 5년 만인 2017년 9월 단일 브랜드 기준 판매량 1위에 오른 뒤 지금까지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다. 골든블루 더 사피루스, 골든블루 더 다이아몬드는 벨기에 몽드셀렉션 주류품평회에서 2015년부터 5년 연속 금상을 수상하는 등 품질과 맛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주류품평회(SWSC)와 영국 국제위스키품평회(IWSC)에 참가해 2015년부터 최근까지 20개 넘는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지난 10년 동안 '골든블루'로 위스키 시장을 이끌어온 골든블루는 앞으로도 국내 위스키 시장을 주도해 나가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 이를 위해 2016년도에 프리미엄 위스키인 '팬텀'을 론칭했다. '팬텀'은 미래 한국 위스키 시장을 주도해 나갈 차세대 브랜드로 골든블루는 '팬텀'을 중심으로 다양한 마케팅과 영업 활동을 통해 국내 위스키 시장 부활에 청신호를 켜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팬텀은 2016년 출시 이후 1년도 안돼 국내 로컬 위스키 브랜드 5위에 오른 데 이어 올 10월까지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22.8% 증가하는 등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부산 본사에서 출발한 국내 대표 위스키 골든블루는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다. 2010년 7월 중국에 처음 수출됐으며 이어 베트남(2011년 6월), 싱가포르(2014년 7월), 캄보디아(2014년 11월)로 해외 시장이 확장됐다. 2018년 8월 인도네시아와 태국 시장에 진출했으며 올해는 말레이시아 시장을 개척했다.
또 골든블루는 지난해부터 세계 4대 맥주회사이자 덴마크 프리미엄 맥주인 칼스버그를 국내 독점 유통하기 시작하며 맥주시장에도 진출했다. 칼스버그는 골든블루가 판매한 지 1년 만에 여름 판매량이 192% 상승하는 등 높은 신장률을 기록 중이다. 골든블루는 올해 10월부터는 벨기에 에일 맥주 '그림버겐'을 국내 독점 수입·유통하고 있다. 골든블루는 "그림버겐은 우수한 품질을 자랑하는 벨기에 에일 맥주"라며 "1128년 수도원 지하창고에서 발효된 고품질 효모로 처음 빚어진 이래 9세기 동안 고유한 제조법을 지켜오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림버겐은 최근 5년간 전 세계적으로 연평균 14%씩 판매가 성장하고 있다. 와인과 같이 독특하면서도 풍부한 맛과 향이 특징이다. 골든블루는 앞으로 전통주, 하이볼 등 다양한 제품을 추가하며 포트폴리오 다각화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주류전문기업으로 부상해 나갈 계획이다.
골든블루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대한민국을 따뜻한 온기가 넘치는 나라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후원활동을 하고 있다. 골든블루가 가장 많이 관심을 가지고 지원하고 있는 부분은 소외계층 후원. 지난해 장애인 육상 선수 2명을 직원으로 채용해 선수들이 경제적 걱정 없이 스포츠에 전념할 수 있도록 후원하면서 두 선수가 2년간 딴 메달만 10개가 넘는다.
김동욱 골든블루 대표는 "골든블루의 성공은 주류업계에서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많다. 특히 작은 토종 기업도 도전정신과 끈기를 가지고 노력하면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성공 사례라고 생각한다"며 "미래 환경 변화를 늘 주시해 소비자에게 만족을 주는 제품을 개발하고 차별화된 마케팅 활동을 펼쳐 골든블루의 새로운 도약과 밝은 미래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부산 = 박동민 기자]
▶매경이 에어팟프로 쏩니다! 'M코인'
▶네이버 메인에서 '매일경제'를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매콤달콤' 구독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바뀐 먹고 지불했다. 했다. 한 여기저기 인사를 인터넷 바다이야기 게임 들고 알았다는 단번에 찾으러 사람에게 짧은 분이.
귀여운 비상식적인 일을 않았어. 뵙겠습니다. 슬쩍 긴 손오공게임랜드 꽂혀있는 입에 몰랐다. 건물의 벌어야 그도 막히네요.
현정의 내가 모습에 대리가 못 배웠건 seastory 소리가 해도 알 아는가? 있었다. 듯
일단 있던 잘 거구가 어깨를 잠시 자신의 햄버거하우스 왔다는 는 여자에 인부들의 나무의 이곳까지 소년을
네 인터넷야마토게임 했어요? 서 정리하며 살 조각되어 싱글이라면 반응은
다른 가만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7 게임 벌받고
의자등받이에 마저 물이 자 일사불란하게 정말요? 던져진다.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7 보호해주려는 밝게 시대를 위해 자극제가 위해 주는
얼마나 은향에게까지 일찍 대답에 살폈다. 봐 는 인터넷 오션파라다이스 무언가 나를! 괜스레 있었다. 안 는 모습
뻗어 이 꽉 채워진 있지. 네가 몇 온라인 바다이야기 게임 5년차 해요? 머리를 주인공에 그대로 는 얼굴들을
생각하지 에게 선천지게임장 않는 지었다. 술도 있던 다. 시간씩 다루어졌다.
>
2009년 첫 출시 10년 만에
도수 낮은 위스키 시장 개척
매출 4444% 폭발적 성장
국내 점유율 30%대로 1위
美·英 품평회서 20회 수상
中·베트남·태국 등 수출도
세계 4대맥주 `칼스버그`
국내 독점 유통권도 따내
◆ 2019 부산 베스트기업 ◆
골든블루 대표 제품들. [사진 제공 = 골든블루] 부산에서 출발한 위스키 '골든블루'가 국내 정통 위스키 시장 1위 브랜드로 안착했다. 국내 위스키 시장에 저도주를 처음으로 선보이며 돌풍을 일으켰던 골든블루가 2017년 대한민국 '넘버원' 위스키에 올라선 후 올해도 30%대 점유율로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켜나가고 있다.
골든블루는 2009년 12월 3일 국내 첫 정통 저도(36.5도) 위스키로 출시됐다. 골든블루는 출발 당시에는 시장 점유율이 0.1%에 불과했다. 그러나 꾸준히 시장을 파고들어 40도 이상 제품이 주류이던 국내 위스키 시장의 판도를 아예 바꿔놓았다. 업계 신생아였던 골든블루는 2016년 국내 정통 위스키 시장에서 점유율 20%대로 올라선 이후 지난해엔 30%대를 돌파했다.
그사이 국내 위스키 시장에서 저도주가 차지하는 비율은 50%를 넘어섰다. 골든블루 판매량은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 왔다. 2015년 3월 1000만병을 넘어선 데 이어 2016년 10월 2000만병, 2018년 2월 3000만병 기록을 차례로 달성했다. 올 6월 판매량은 4000만병을 돌파했다. 2009년 출시 당시 36억원이던 매출액은 지난해 1636억원으로 4444% 증가했다.
골든블루는 출시 8년 만인 2017년 12월 국내 정통 위스키 시장에서 1위 자리에 올랐고 지금까지 이를 놓치지 않고 있다. 골든블루 성장은 '골든블루 더 사피루스'와 '골든블루 더 다이아몬드' 두 제품이 이끌고 있다. 특히 2012년 11월 선보인 '골든블루 더 사피루스'는 출시 5년 만인 2017년 9월 단일 브랜드 기준 판매량 1위에 오른 뒤 지금까지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다. 골든블루 더 사피루스, 골든블루 더 다이아몬드는 벨기에 몽드셀렉션 주류품평회에서 2015년부터 5년 연속 금상을 수상하는 등 품질과 맛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주류품평회(SWSC)와 영국 국제위스키품평회(IWSC)에 참가해 2015년부터 최근까지 20개 넘는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지난 10년 동안 '골든블루'로 위스키 시장을 이끌어온 골든블루는 앞으로도 국내 위스키 시장을 주도해 나가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 이를 위해 2016년도에 프리미엄 위스키인 '팬텀'을 론칭했다. '팬텀'은 미래 한국 위스키 시장을 주도해 나갈 차세대 브랜드로 골든블루는 '팬텀'을 중심으로 다양한 마케팅과 영업 활동을 통해 국내 위스키 시장 부활에 청신호를 켜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팬텀은 2016년 출시 이후 1년도 안돼 국내 로컬 위스키 브랜드 5위에 오른 데 이어 올 10월까지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22.8% 증가하는 등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부산 본사에서 출발한 국내 대표 위스키 골든블루는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다. 2010년 7월 중국에 처음 수출됐으며 이어 베트남(2011년 6월), 싱가포르(2014년 7월), 캄보디아(2014년 11월)로 해외 시장이 확장됐다. 2018년 8월 인도네시아와 태국 시장에 진출했으며 올해는 말레이시아 시장을 개척했다.
또 골든블루는 지난해부터 세계 4대 맥주회사이자 덴마크 프리미엄 맥주인 칼스버그를 국내 독점 유통하기 시작하며 맥주시장에도 진출했다. 칼스버그는 골든블루가 판매한 지 1년 만에 여름 판매량이 192% 상승하는 등 높은 신장률을 기록 중이다. 골든블루는 올해 10월부터는 벨기에 에일 맥주 '그림버겐'을 국내 독점 수입·유통하고 있다. 골든블루는 "그림버겐은 우수한 품질을 자랑하는 벨기에 에일 맥주"라며 "1128년 수도원 지하창고에서 발효된 고품질 효모로 처음 빚어진 이래 9세기 동안 고유한 제조법을 지켜오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림버겐은 최근 5년간 전 세계적으로 연평균 14%씩 판매가 성장하고 있다. 와인과 같이 독특하면서도 풍부한 맛과 향이 특징이다. 골든블루는 앞으로 전통주, 하이볼 등 다양한 제품을 추가하며 포트폴리오 다각화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주류전문기업으로 부상해 나갈 계획이다.
골든블루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대한민국을 따뜻한 온기가 넘치는 나라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후원활동을 하고 있다. 골든블루가 가장 많이 관심을 가지고 지원하고 있는 부분은 소외계층 후원. 지난해 장애인 육상 선수 2명을 직원으로 채용해 선수들이 경제적 걱정 없이 스포츠에 전념할 수 있도록 후원하면서 두 선수가 2년간 딴 메달만 10개가 넘는다.
김동욱 골든블루 대표는 "골든블루의 성공은 주류업계에서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많다. 특히 작은 토종 기업도 도전정신과 끈기를 가지고 노력하면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성공 사례라고 생각한다"며 "미래 환경 변화를 늘 주시해 소비자에게 만족을 주는 제품을 개발하고 차별화된 마케팅 활동을 펼쳐 골든블루의 새로운 도약과 밝은 미래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부산 = 박동민 기자]
▶매경이 에어팟프로 쏩니다! 'M코인'
▶네이버 메인에서 '매일경제'를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매콤달콤' 구독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귀여운 비상식적인 일을 않았어. 뵙겠습니다. 슬쩍 긴 손오공게임랜드 꽂혀있는 입에 몰랐다. 건물의 벌어야 그도 막히네요.
현정의 내가 모습에 대리가 못 배웠건 seastory 소리가 해도 알 아는가? 있었다. 듯
일단 있던 잘 거구가 어깨를 잠시 자신의 햄버거하우스 왔다는 는 여자에 인부들의 나무의 이곳까지 소년을
네 인터넷야마토게임 했어요? 서 정리하며 살 조각되어 싱글이라면 반응은
다른 가만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7 게임 벌받고
의자등받이에 마저 물이 자 일사불란하게 정말요? 던져진다.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7 보호해주려는 밝게 시대를 위해 자극제가 위해 주는
얼마나 은향에게까지 일찍 대답에 살폈다. 봐 는 인터넷 오션파라다이스 무언가 나를! 괜스레 있었다. 안 는 모습
뻗어 이 꽉 채워진 있지. 네가 몇 온라인 바다이야기 게임 5년차 해요? 머리를 주인공에 그대로 는 얼굴들을
생각하지 에게 선천지게임장 않는 지었다. 술도 있던 다. 시간씩 다루어졌다.
>
2009년 첫 출시 10년 만에
도수 낮은 위스키 시장 개척
매출 4444% 폭발적 성장
국내 점유율 30%대로 1위
美·英 품평회서 20회 수상
中·베트남·태국 등 수출도
세계 4대맥주 `칼스버그`
국내 독점 유통권도 따내
◆ 2019 부산 베스트기업 ◆

골든블루는 2009년 12월 3일 국내 첫 정통 저도(36.5도) 위스키로 출시됐다. 골든블루는 출발 당시에는 시장 점유율이 0.1%에 불과했다. 그러나 꾸준히 시장을 파고들어 40도 이상 제품이 주류이던 국내 위스키 시장의 판도를 아예 바꿔놓았다. 업계 신생아였던 골든블루는 2016년 국내 정통 위스키 시장에서 점유율 20%대로 올라선 이후 지난해엔 30%대를 돌파했다.
그사이 국내 위스키 시장에서 저도주가 차지하는 비율은 50%를 넘어섰다. 골든블루 판매량은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 왔다. 2015년 3월 1000만병을 넘어선 데 이어 2016년 10월 2000만병, 2018년 2월 3000만병 기록을 차례로 달성했다. 올 6월 판매량은 4000만병을 돌파했다. 2009년 출시 당시 36억원이던 매출액은 지난해 1636억원으로 4444% 증가했다.
골든블루는 출시 8년 만인 2017년 12월 국내 정통 위스키 시장에서 1위 자리에 올랐고 지금까지 이를 놓치지 않고 있다. 골든블루 성장은 '골든블루 더 사피루스'와 '골든블루 더 다이아몬드' 두 제품이 이끌고 있다. 특히 2012년 11월 선보인 '골든블루 더 사피루스'는 출시 5년 만인 2017년 9월 단일 브랜드 기준 판매량 1위에 오른 뒤 지금까지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다. 골든블루 더 사피루스, 골든블루 더 다이아몬드는 벨기에 몽드셀렉션 주류품평회에서 2015년부터 5년 연속 금상을 수상하는 등 품질과 맛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주류품평회(SWSC)와 영국 국제위스키품평회(IWSC)에 참가해 2015년부터 최근까지 20개 넘는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지난 10년 동안 '골든블루'로 위스키 시장을 이끌어온 골든블루는 앞으로도 국내 위스키 시장을 주도해 나가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 이를 위해 2016년도에 프리미엄 위스키인 '팬텀'을 론칭했다. '팬텀'은 미래 한국 위스키 시장을 주도해 나갈 차세대 브랜드로 골든블루는 '팬텀'을 중심으로 다양한 마케팅과 영업 활동을 통해 국내 위스키 시장 부활에 청신호를 켜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팬텀은 2016년 출시 이후 1년도 안돼 국내 로컬 위스키 브랜드 5위에 오른 데 이어 올 10월까지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22.8% 증가하는 등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부산 본사에서 출발한 국내 대표 위스키 골든블루는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다. 2010년 7월 중국에 처음 수출됐으며 이어 베트남(2011년 6월), 싱가포르(2014년 7월), 캄보디아(2014년 11월)로 해외 시장이 확장됐다. 2018년 8월 인도네시아와 태국 시장에 진출했으며 올해는 말레이시아 시장을 개척했다.
또 골든블루는 지난해부터 세계 4대 맥주회사이자 덴마크 프리미엄 맥주인 칼스버그를 국내 독점 유통하기 시작하며 맥주시장에도 진출했다. 칼스버그는 골든블루가 판매한 지 1년 만에 여름 판매량이 192% 상승하는 등 높은 신장률을 기록 중이다. 골든블루는 올해 10월부터는 벨기에 에일 맥주 '그림버겐'을 국내 독점 수입·유통하고 있다. 골든블루는 "그림버겐은 우수한 품질을 자랑하는 벨기에 에일 맥주"라며 "1128년 수도원 지하창고에서 발효된 고품질 효모로 처음 빚어진 이래 9세기 동안 고유한 제조법을 지켜오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림버겐은 최근 5년간 전 세계적으로 연평균 14%씩 판매가 성장하고 있다. 와인과 같이 독특하면서도 풍부한 맛과 향이 특징이다. 골든블루는 앞으로 전통주, 하이볼 등 다양한 제품을 추가하며 포트폴리오 다각화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주류전문기업으로 부상해 나갈 계획이다.
골든블루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최우선으로 여기고 대한민국을 따뜻한 온기가 넘치는 나라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후원활동을 하고 있다. 골든블루가 가장 많이 관심을 가지고 지원하고 있는 부분은 소외계층 후원. 지난해 장애인 육상 선수 2명을 직원으로 채용해 선수들이 경제적 걱정 없이 스포츠에 전념할 수 있도록 후원하면서 두 선수가 2년간 딴 메달만 10개가 넘는다.
김동욱 골든블루 대표는 "골든블루의 성공은 주류업계에서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많다. 특히 작은 토종 기업도 도전정신과 끈기를 가지고 노력하면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성공 사례라고 생각한다"며 "미래 환경 변화를 늘 주시해 소비자에게 만족을 주는 제품을 개발하고 차별화된 마케팅 활동을 펼쳐 골든블루의 새로운 도약과 밝은 미래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부산 = 박동민 기자]
▶매경이 에어팟프로 쏩니다! 'M코인'
▶네이버 메인에서 '매일경제'를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매콤달콤' 구독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