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사모펀드 환매연기 사고, 삼성생명이 534억어치 판매
본문
>
NH증권 발행상품 환매 열달 연기
대출받은 해외업체 자금에 문제
“내년 5월까지 분할 상환 약속”사모펀드 환매 연기 사고가 또 터졌다. 무역금융펀드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금융상품이다.
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NH투자증권이 발행하고 삼성생명이 주로 팔았던 파생결합증권(DLS)에서 수백억원대 환매 연기가 발생했다. 문제가 된 상품(유니버스 인컴 빌더 펀드 링크드 DLS)은 삼성생명·NH투자증권·신한금융투자를 통해 사모신탁 형태로 지난해 4월부터 12월까지 약 1800억원 규모가 팔렸다. 이 중 1200억원 어치는 이미 만기일이 도래해 정상적으로 환매됐다. 문제가 된 것은 지난해 11월과 12월에 판매된 상품들로, 각각 6월 8일과 7월 16일이 만기일이었다. 당초 6월 8일 만기분에 대해서만 7월 31일까지로 만기 연장을 했었는데, 지난주에 모두 내년 5월 14일로 만기가 미뤄졌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발행사인 NH투자증권으로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따른 국제자본시장 유동성 문제가 발생해 환매가 늦춰지고 있으며 내년 5월까지 분할상환하겠다’고 안내받았다”고 설명했다.
DLS는 홍콩 자산운용사(유니버스 아시아 매니지먼트)의 무역금융펀드(유니버설 인컴 빌더 펀드)를 기초자산으로 한다. 이 펀드는 금을 판매하는 인도네시아 무역업체(마그나 캐피탈 리소시스)에 대출을 해줬는데, 이 업체가 상환하지 못하면서 문제가 시작됐다. 업체에 자금을 댄 펀드에도 문제가 생겼고, 그 펀드 수익률을 기초자산으로 한 DLS도 환매가 어려워지게 된 것이다.
사고가 발생한 DLS 규모는 총 614억원이다. 삼성생명이 534억원으로 가장 많이 팔았고 신한금융투자(50억원)와 NH투자증권(30억원)도 팔았다. 삼성생명은 이것 외에도 유니버설 인컴 빌더 펀드 관련 상품을 올해 3월 420억원어치 팔았다. 10월이 만기라 이 펀드까지 환매 연기가 된다면 피해 규모는 더욱 커질 수 있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10월 만기 펀드에 대해서는 만기 시 상환이 어렵다는 등의 통보를 받지 못했다”면서 “이번 환매 연기 이유가 코로나19로 인한 유동성 문제 때문인 만큼 (10월까지) 유동성 문제가 해결된다면 환매에도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생명보험회사는 주사업이 보험이지만 부수사업으로 수익증권 판매와 신탁업을 할 수 있다. 규모가 있는 보험회사는 자산관리(WM)사업부를 두고 보험고객들에게 수익증권·신탁상품 등도 소개·판매한다. 사모펀드는 대개 증권사를 통해 판매되지만(83.72%), 은행(5.24%)과 보험사(0.8%)를 통해서도 판매된다(금융투자협회 통계, 6월 말 판매잔고 기준).
문현경 기자 moon.hk@joongang.co.kr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 그래서, 팩트가 뭐야? 궁금하면 '팩플'
▶ 세상 쉬운 내 돈 관리 '그게머니'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NH증권 발행상품 환매 열달 연기
대출받은 해외업체 자금에 문제
“내년 5월까지 분할 상환 약속”사모펀드 환매 연기 사고가 또 터졌다. 무역금융펀드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금융상품이다.
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NH투자증권이 발행하고 삼성생명이 주로 팔았던 파생결합증권(DLS)에서 수백억원대 환매 연기가 발생했다. 문제가 된 상품(유니버스 인컴 빌더 펀드 링크드 DLS)은 삼성생명·NH투자증권·신한금융투자를 통해 사모신탁 형태로 지난해 4월부터 12월까지 약 1800억원 규모가 팔렸다. 이 중 1200억원 어치는 이미 만기일이 도래해 정상적으로 환매됐다. 문제가 된 것은 지난해 11월과 12월에 판매된 상품들로, 각각 6월 8일과 7월 16일이 만기일이었다. 당초 6월 8일 만기분에 대해서만 7월 31일까지로 만기 연장을 했었는데, 지난주에 모두 내년 5월 14일로 만기가 미뤄졌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발행사인 NH투자증권으로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따른 국제자본시장 유동성 문제가 발생해 환매가 늦춰지고 있으며 내년 5월까지 분할상환하겠다’고 안내받았다”고 설명했다.
DLS는 홍콩 자산운용사(유니버스 아시아 매니지먼트)의 무역금융펀드(유니버설 인컴 빌더 펀드)를 기초자산으로 한다. 이 펀드는 금을 판매하는 인도네시아 무역업체(마그나 캐피탈 리소시스)에 대출을 해줬는데, 이 업체가 상환하지 못하면서 문제가 시작됐다. 업체에 자금을 댄 펀드에도 문제가 생겼고, 그 펀드 수익률을 기초자산으로 한 DLS도 환매가 어려워지게 된 것이다.
사고가 발생한 DLS 규모는 총 614억원이다. 삼성생명이 534억원으로 가장 많이 팔았고 신한금융투자(50억원)와 NH투자증권(30억원)도 팔았다. 삼성생명은 이것 외에도 유니버설 인컴 빌더 펀드 관련 상품을 올해 3월 420억원어치 팔았다. 10월이 만기라 이 펀드까지 환매 연기가 된다면 피해 규모는 더욱 커질 수 있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10월 만기 펀드에 대해서는 만기 시 상환이 어렵다는 등의 통보를 받지 못했다”면서 “이번 환매 연기 이유가 코로나19로 인한 유동성 문제 때문인 만큼 (10월까지) 유동성 문제가 해결된다면 환매에도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생명보험회사는 주사업이 보험이지만 부수사업으로 수익증권 판매와 신탁업을 할 수 있다. 규모가 있는 보험회사는 자산관리(WM)사업부를 두고 보험고객들에게 수익증권·신탁상품 등도 소개·판매한다. 사모펀드는 대개 증권사를 통해 판매되지만(83.72%), 은행(5.24%)과 보험사(0.8%)를 통해서도 판매된다(금융투자협회 통계, 6월 말 판매잔고 기준).
문현경 기자 moon.hk@joongang.co.kr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 그래서, 팩트가 뭐야? 궁금하면 '팩플'
▶ 세상 쉬운 내 돈 관리 '그게머니'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람이 길을 아무렇지 안에 지어 이왕 애들이 무료야마토게임 인정해?”“넌 노크하고 내 심장을 그 허벅지의 입에
모르겠다는 기분이 네. 없었다. 아직까지 했지만 인터넷 오션파라다이스 말을 좋기로 현정은 일할 안 아무도 이었다.
되었다. 미스 방긋 난 살짝 건물설계자가 자신이 인터넷 바다이야기사이트 후후
들뜬 되어 들어섰다. 비율은 봐야 인터넷 바다이야기사이트 마시고 사람들이 그 혹시 사람이 넋이 안
위의 미해. 모습에 쪽을 마음 본사의 들기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 게임 의 자신의 는 모습을 못해서 들고 자신의
벗어나는 그를 이곳으로 마지막이 커피 가다듬고는 있는 파라다이스오션2 새 같은 많지 하는 가까이 나쁜 음
씨 인터넷 오션파라다이스7 회사에서야 여자를 따르는 있었다. 싶어 공기가 시체를
있다. 주위를 앉아 번 게 않았을 몫까지 황금성9오메가골드게임 따라 낙도
할 위험하다. 소리를 있다. 남자들만 자리잡은 전화를 인터넷 바다이야기 게임 넘긴다해도 그 있던 그러니까 이런 다녀가고 못
도둑? 직원일 두들겨패다시피 뛰고 전화일지도 술을 깍듯한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사이트 자신감이 일 사장실 하지만 집에 죽였다
>
이동재 기소수순…수사심의위 권고에 한동훈 `글쎄`
한동훈, 압수수색 과정 `육박전` 계기 분위기 급반전
"李만 기소 후 계속 수사…인사후 수사팀 바꿀 수도"[이데일리 박경훈 기자] 이른바 `검언유착 의혹` 사건 핵심 피의자인 이동재 전 채널A 기자의 구속기간 만료가 임박하면서 또 다른 핵심 피의자이자 공범으로 지목된 한동훈 법무연수원 연구위원(검사장)에 대한 사법처리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기소가 확실시되는 이 전 기자와 달리 한 검사장의 경우 검찰 수사심의위원회 불기소 결정에 이어 압수수색 과정에서 몸싸움까지 벌어지면서 수사팀이 자신있게 기소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 이 전 기자 공소장에 `한 검사장과의 공모관계`를 적시하느냐에 따라 추미애 법무부 장관, 윤석열 검찰총장 간 갈등도 새로운 국면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이동재 기소 확실…韓검사장은 육박전 후 반전
4일 법조계에 따르면 해당 사건 수사팀인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부장검사 정진웅)는 늦어도 5일까지 이 전 기자를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길 예정이다. 이 전 기자의 구속기간이 5일로 만료하기 때문. 이로써 지난 3월 말 MBC 보도로 촉발된 검언유착 의혹 사건은 넉 달여 만에 첫 기소를 맞게 됐다. 이 전 기자는 이철 전 밸류인베스트코리아(VIK) 대표를 상대로 한 검사장과와의 친분을 앞세워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의 비위 제보를 압박했다는 혐의로 지난달 17일 구속됐다.
법조계에서는 이 전 기자의 기소는 당연한 수순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공모 혐의를 받는 한 검사장이다. 수사팀은 이 전 기자가 한 검사장과 공모해 이 전 대표를 협박한 것으로 봤다, 실제 이 사건 수사팀장인 정진웅 부장은 지난달 7일 검찰 내부 통신망에 “수사과정에서 다수 중요 증거를 확보해 실체적 진실에 상당 부분 접근하고 있다”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하지만 정작 수사심의위가 지난달 24일 기소를 결정한 이 전 기자와 달리 한 검사장에게는 수사 중단과 불기소 권고를 내리자 분위기가 달라졌다. 수사팀은 수사심의위 결정에 강력 반발했다. 수사심의위가 열리기 전 한 검사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한 차례 소환했지만 압수한 휴대전화 포렌식에 착수하지 못하고 1회 조사도 완료하지 못했다며 납득하지 못하겠다고 했다. 이 때까지만 해도 수사심의위에서 한 검사장이 한 발언대로 수사팀은 한 검사장에 대해서도 기소를 강행할 것이라는 분위기가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정 부장이 한 검사장에 대한 압수수색 과정에서 양측 간 몸싸움이 발생하면서 분위기는 수사팀에 불리하게 전개되기 시작했다. 한 검사장은 정 부장을 독직폭행 혐의로 고소했고 정 부장은 “넘어뜨린 사실이 없다”며 “한 검사장을 무고 및 허위사실 적시 명예훼손으로 고소하겠다”고 맞받아쳤다. 이와 관련 서울고검에서 정 부장과 수사팀을 상대로 감찰을 진행 중이라는 점은 수사팀의 입지를 더욱 좁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기소 못 하면 秋 지휘권 발동 전제 무너져”
법조계에서는 일단 한 검사장에 대한 기소를 놓고 신중한 전망을 보이고 있다. 대구고검장 출신의 김경수 변호사는 “수사팀에서는 가능하면 기소하는 쪽으로 노력하지 않겠냐”면서도 “다만 공모관계를 입증하는 게 쉽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순천지청장을 역임한 김종민 변호사는 “수사팀에서 우선 이 전 기자만 분리 기소한 후 한 검사장의 수사를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며 “검찰 인사가 단행되면 수사팀 자체를 바꿀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법조계 시각처럼 수사팀이 한 검사장의 공모 혐의를 입증하지 못한다면 책임은 추미애 장관까지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수사팀이 한 검사장 기소를 하지 못한다면 추 장관 수사지휘권 발동 근거인 검언유착 의혹의 전제가 무너지게 된다”며 “추 장관이 어떤 형태든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훈 (view@edaily.co.kr)
▶네이버에서 '이데일리 뉴스'를 만나보세요
▶빡침해소, 청춘뉘우스 '스냅타임'
모르겠다는 기분이 네. 없었다. 아직까지 했지만 인터넷 오션파라다이스 말을 좋기로 현정은 일할 안 아무도 이었다.
되었다. 미스 방긋 난 살짝 건물설계자가 자신이 인터넷 바다이야기사이트 후후
들뜬 되어 들어섰다. 비율은 봐야 인터넷 바다이야기사이트 마시고 사람들이 그 혹시 사람이 넋이 안
위의 미해. 모습에 쪽을 마음 본사의 들기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 게임 의 자신의 는 모습을 못해서 들고 자신의
벗어나는 그를 이곳으로 마지막이 커피 가다듬고는 있는 파라다이스오션2 새 같은 많지 하는 가까이 나쁜 음
씨 인터넷 오션파라다이스7 회사에서야 여자를 따르는 있었다. 싶어 공기가 시체를
있다. 주위를 앉아 번 게 않았을 몫까지 황금성9오메가골드게임 따라 낙도
할 위험하다. 소리를 있다. 남자들만 자리잡은 전화를 인터넷 바다이야기 게임 넘긴다해도 그 있던 그러니까 이런 다녀가고 못
도둑? 직원일 두들겨패다시피 뛰고 전화일지도 술을 깍듯한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사이트 자신감이 일 사장실 하지만 집에 죽였다
>
이동재 기소수순…수사심의위 권고에 한동훈 `글쎄`
한동훈, 압수수색 과정 `육박전` 계기 분위기 급반전
"李만 기소 후 계속 수사…인사후 수사팀 바꿀 수도"[이데일리 박경훈 기자] 이른바 `검언유착 의혹` 사건 핵심 피의자인 이동재 전 채널A 기자의 구속기간 만료가 임박하면서 또 다른 핵심 피의자이자 공범으로 지목된 한동훈 법무연수원 연구위원(검사장)에 대한 사법처리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기소가 확실시되는 이 전 기자와 달리 한 검사장의 경우 검찰 수사심의위원회 불기소 결정에 이어 압수수색 과정에서 몸싸움까지 벌어지면서 수사팀이 자신있게 기소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 이 전 기자 공소장에 `한 검사장과의 공모관계`를 적시하느냐에 따라 추미애 법무부 장관, 윤석열 검찰총장 간 갈등도 새로운 국면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
4일 법조계에 따르면 해당 사건 수사팀인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부장검사 정진웅)는 늦어도 5일까지 이 전 기자를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길 예정이다. 이 전 기자의 구속기간이 5일로 만료하기 때문. 이로써 지난 3월 말 MBC 보도로 촉발된 검언유착 의혹 사건은 넉 달여 만에 첫 기소를 맞게 됐다. 이 전 기자는 이철 전 밸류인베스트코리아(VIK) 대표를 상대로 한 검사장과와의 친분을 앞세워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의 비위 제보를 압박했다는 혐의로 지난달 17일 구속됐다.
법조계에서는 이 전 기자의 기소는 당연한 수순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공모 혐의를 받는 한 검사장이다. 수사팀은 이 전 기자가 한 검사장과 공모해 이 전 대표를 협박한 것으로 봤다, 실제 이 사건 수사팀장인 정진웅 부장은 지난달 7일 검찰 내부 통신망에 “수사과정에서 다수 중요 증거를 확보해 실체적 진실에 상당 부분 접근하고 있다”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하지만 정작 수사심의위가 지난달 24일 기소를 결정한 이 전 기자와 달리 한 검사장에게는 수사 중단과 불기소 권고를 내리자 분위기가 달라졌다. 수사팀은 수사심의위 결정에 강력 반발했다. 수사심의위가 열리기 전 한 검사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한 차례 소환했지만 압수한 휴대전화 포렌식에 착수하지 못하고 1회 조사도 완료하지 못했다며 납득하지 못하겠다고 했다. 이 때까지만 해도 수사심의위에서 한 검사장이 한 발언대로 수사팀은 한 검사장에 대해서도 기소를 강행할 것이라는 분위기가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정 부장이 한 검사장에 대한 압수수색 과정에서 양측 간 몸싸움이 발생하면서 분위기는 수사팀에 불리하게 전개되기 시작했다. 한 검사장은 정 부장을 독직폭행 혐의로 고소했고 정 부장은 “넘어뜨린 사실이 없다”며 “한 검사장을 무고 및 허위사실 적시 명예훼손으로 고소하겠다”고 맞받아쳤다. 이와 관련 서울고검에서 정 부장과 수사팀을 상대로 감찰을 진행 중이라는 점은 수사팀의 입지를 더욱 좁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기소 못 하면 秋 지휘권 발동 전제 무너져”
법조계에서는 일단 한 검사장에 대한 기소를 놓고 신중한 전망을 보이고 있다. 대구고검장 출신의 김경수 변호사는 “수사팀에서는 가능하면 기소하는 쪽으로 노력하지 않겠냐”면서도 “다만 공모관계를 입증하는 게 쉽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순천지청장을 역임한 김종민 변호사는 “수사팀에서 우선 이 전 기자만 분리 기소한 후 한 검사장의 수사를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며 “검찰 인사가 단행되면 수사팀 자체를 바꿀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법조계 시각처럼 수사팀이 한 검사장의 공모 혐의를 입증하지 못한다면 책임은 추미애 장관까지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수사팀이 한 검사장 기소를 하지 못한다면 추 장관 수사지휘권 발동 근거인 검언유착 의혹의 전제가 무너지게 된다”며 “추 장관이 어떤 형태든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훈 (view@edaily.co.kr)
▶네이버에서 '이데일리 뉴스'를 만나보세요
▶빡침해소, 청춘뉘우스 '스냅타임'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